만우절바이러스의 탄생: 콘피커(Conficker)' 웜의 변종으로 만우절 당일 활동을 개시한다.
만우절바이러스의 감염현상:
1.자체 전파 기능은 없지만 감염 PC간 통신이 가능하며,
2.활동을 개시한 후 외부의 특정 시스템으로 접속해 추가적인 악성 코드 내려받기를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.
3.이 과정에서 500개의 인터넷 주소로 무작위 접속을 시도하고,
4.기업 망 외부의 IP주소들로 P2P 접속을 시도하기에 네트워크 트래픽의 과부하를 유발한다.
5.PC 속도가 현저히 저하되거나 윈도우 업데이트·백신 업데이트가 실행되지 않고,
6. 주요 보안 관련 사이트에 접속되지 않는다면 이 악성코드의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.
만우절바이러스 치료백신다운로드:
알약치료백신: http://alyac.altools.co.kr/etc/Notice_Contents.aspx?idx=123
알약다운로드: http://alyac.altools.co.kr/alyac/alyacinfo.aspx
알약직접다운로드: http://aldn.altools.co.kr/altools/ALYac132.exe
안철수바이러스연구소: http://kr.ahnlab.com/dwVaccineView.ahn?num=80&cPage=1
안철수 Conficker.worm 치료백신다운로드: http://kr.ahnlab.com/downLoadFreeVaccine.ahn?filename=v3conficker.exe
그리고 예방 방법은 어느 바이러스인든지 다 똑같다.
- 항상 백신을 최신버젼으로 업그레이드를 한다.
- 모르는 사람이 보내는 파일은 절대로 다운로드나 실행을 하지 않는다.
- 윈도우의 방화벽이 작동하는지 확인을 한다.
- 아는 사람이 아무말없이 파일을 보낸다면 이것도 일단 의심을 해야한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